컴퓨터 광고 블로그로 돈버는 법

블로그로 돈버는 법

148
3

blogmoneyearn

기존에 만들어 놓은 것으로 일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블로그를 이용한다면 가능할 거 같습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법을 공부하면 할 수록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포기했습니다.

포기했는데, 왜 이런 글을 쓰냐고요? 일종의 자료 정리용입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닙니다. 어느 정도만 해도, 한달에 5~10만원은 벌 수 있으니까요.

일상에서 겪는 일이나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한달 전화비하고, 실손 보험비, 로또 구매 비용 정도는 나오니 손해보는 장사는 아닙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법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1. CPC 광고 수익
  2. 광고 포스팅
  3. 제휴 마케팅

 

1. CPC 광고 수익

CPC 광고 수익은 우리가 포털 사이트나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접하게 되는 광고입니다. 방문자가 이 광고를 클릭하게 됨으로서 웹사이트 운영자가 수익을 얻는 광고입니다.

수익은 몇십원에서 만원 정도 까지 다양합니다. CPC 광고로 유명한 사이트는 구글 애드센스, 다음 애드핏, 네이버 포스트 등이 되겠습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법에 있어서 큰 수익을 주는 부분은 아니지만, 웹사이트의 컨텐츠나 방문자의 성향등에 따라서 수익이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나같은 경우는 IT관련 포스팅을 주로 하기에 방문자들 또한 광고차단 플러그인을 이용하기에 클릭은 거의 없습니다. 이것도 조금만 잘 생각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네이버 애드포스트 병원 수술관련 광고는 클릭당 단가 8천원까지 경험해 본적이 있습니다.  8천원은 가장 높게 나왔던 것이고, 보통 3천원 정도 나옵니다. 잠시 쓴 소리를 하자면 여러분이 중요한 수술이나 질병으로 병원 선택을 할때 인터넷 광고를 보고 선택하는게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는 예입니다. 작년이었나 A가수가 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사망을 했는데요. 인터넷에 광고비만 많이 투자하면 그런 의사나 병원들에 의해서 여러분의 가족들이나 본인도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알아야 됩니다. 동네 잘 나가는 병원들은 홈페이지 하나도 없는 병원들이 더 많습니다.

나같은 경우는 CPC 광고로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클릭률이 저조하다 보니 용돈벌이 수준입니다. 그래서 그냥 방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CPC광고 수익도 내가 영어를 못해서 못하고 있지만, 전세계를 상대로 영어로 포스팅 한다면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분야입니다. 그런데 영어 컨텐츠로 포스팅을 하게 된다면 주의할게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중인 서비스형 블로그가 아닌 워드프레스, 줌라, 드루팔 같은 설치형 CMS를 사용하시고, 웹호스팅은 미국에 위치한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업체는 블루호스트(BlueHost)가 있습니다. 블루호스트(BlueHost)의 서버호스팅을 제외한 모든 상품을 사용해 본 경험상 저렴한 가격(저렴한 가격만큼의 서비스)으로 사용할만 합니다. 아이페이지, 고대디 이런곳은 추천안합니다. 않 좋아요. 돈을 좀 투자하면 좋은 회사도 많기는 하지만 가장 저렴한 상품이 월 70~100불(비즈니스 목적으로 사용할만한 곳, CPC광고용으로는 비용이 비싸서 추천 안합니다.) 이리 주고 사용할것이 아니고, 10~30불 정도 사이면 블루호스트(BlueHost)가 무난합니다.

 

2. 광고 포스팅

업체 홍보 포스팅을 대행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블로그 판매할 생각이 없는 냐는 쪽지나 비밀댓글을 많이 접해 보았을 것입니다. 이말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네이버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네이버에 광고 마케팅용 블로그를 구매한다는 것인데, 법률적으로 책임도 져야 되기에 절대로 판매해서는 안됩니다. 대리 광고 포스팅은 광고 종류나 블로그 수준에 따라서 건당 3천원에서 몇 십만원까지 합니다.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싫어하는 분야입니다. 일종의 사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광고 포스팅은 타인에게 물질적,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주는 행위라는 것을 아셔야 됩니다. 무슨 수술로 유명한 병원 추천, 맛집 추천, 상품 추천 등의 포스팅을 말합니다.

 

3. 제휴 마케팅

제휴 마케팅은 국내 특성상 시장 자체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방식은 병원 수술 상담, 대출,보험 상담 등의 행위가 발생하였을때 지불하는 행위나 블로그의 광고 포스팅을 보고 제휴링크를 통해서 구매가 이루어 졌을때 커미션을 받는 방식입니다. 이것도 국내 특성상 기형적으로 발전된거 같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국내 자칭 포털사들(포털로 위장한 광고사이트)이 광고 수익을 독점하기에 시장 자체가 없다고 보면 되고, 커미션 자체가 말도 안되게 작습니다. 해외 같은 경우는 보통 5%~60%까지 상품의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서 커미션의 액수가 달라집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법에 있어서 가장 비중이 있고, 수익도 큰 분야지만, 국내 여건상 양심을 팔아먹지 않는 한 해먹을 만한게 없습니다. 나는 양심상의 이유로 하지 않습니다. 아니 할게 없다(대출, 병원 등등)고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찾아보니 국내에서도 제휴마케팅이 조금 있습니다.

우체국 쇼핑몰의 경우 링크프라이스,아이라이크클릭,인터리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우체국 쇼핑몰에 가면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내가 생각하기에 우체국쇼핑몰은 외부업체에 위탁으로 운영하기 보다는 우체국 쇼핑몰에서 직접 운영하고 외부업체에 주는 커미션 까지 사용자에게 직접 준다면 국내 제휴 마케팅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주었을 텐데 아쉽네요. 포털 광고 때문에 국내 제휴마케팅 커미션 시장 자체도 거의 없고, 커미션도 형편없어서 하지는 않습니다.

해외 제휴마케팅 같은 경우는 아마존, 이베이, 아이튠즈나 각 회사들이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직접 운영한다는 것은 그만큼 마케팅에 도움이되고, 매출에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법 CPA 광고 수익, 광고 포스팅, 제휴 마케팅을 잘 이용하면 심심풀이로 할 만 합니다.

심심풀이로 할만하다는 것은 이것도 경쟁이 심하기에 수익도 크지 않고, 힘들다는 것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힘드니까요.

블로그로 큰 돈을 번다고 생각하면 일찌감치 포기하는게 좋고,  일상생활이나 생각을 기록하는 용도로 포스팅 하고, 소소한 용돈벌이 정도로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블로그로 돈버는 사이트

 

애드센스 도움말
https://support.google.com/adsense#topic=3373519

구글 애드센스
http://google.com/adsense

다음 애드핏
http://adfit.biz.daum.net/

다음 애드핏 도움말
http://board.biz.daum.net/gaia/do/adfit/qna/list?bbsId=adfitqna&sortKey=readCount&forceTalkro=T

네이버 애드포스트

http://adpost.naver.com

네이버 애드포스트 도움말
http://adpost.naver.com/help/introduction.nhn

링크프라이스
http://www.linkprice.com

아이라이크클릭
http://ilikeclick.com

인터리치
http://www.interich.com

amazon associates
https://affiliate-program.amazon.com/

ebaypartnernetwork
http://ebaypartnernetwork.ebay.com

itunes affiliate
http://www.apple.com/itunes/affiliates/

이전 기사워드프레스 위키 플러그인
다음 기사저렴하게 ssl 인증서 구매하기

3 코멘트

  1. 안녕하세요 ^^ 인사를 드린적은 없지만
    즐겨찾기해두고 정말 어쩌다 한 번씩 cuspis님 블로그 눈팅하는 사람입니다.

    뉴스페이퍼 테마에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던차에
    마침 사용하고 계셨다는 것이 생각나서 들어와 봤는데요.

    사이드바의 애드센스 관련해서 문의드릴 것이 있어서요 ^^
    sticky ?? 고정 형태의 애드센스는 원칙적으로
    애드센스 광고규정(프로그램 정책)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알기로는요)

    그렇지만 보통은 약간의 정책에서 벗어나도 유저분들에 따라서
    지속 이용하셔도 크게 문제가 되는 경우가 없기도 하던데
    우측의 사이드바 고정형태를 사용하신 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사용하시면서 정책 위반 알림이라던가 다른 문제는 없었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요?

    • 고정 형태로 사용한 것은 18개월은 넘은거 같습니다.
      정책위반 알림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이 블로그 자체가 애드센스 수익을 위한 블로그가 아니라서 수익이 거의 없어서 구글에서도 관심은 없을테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블로그는 뉴스메그 테마를 적용하였습니다. 뉴스페이퍼 테마하고 거의 동일한 테마이지만 디자인상 약간은 다릅니다. 뉴스메그가 좀 더 모던한 느낌이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러셨군요. 무슨말씀이신지 잘 알겠습니다.
        아! 제가 보던 것도 뉴스매그가 맞네요.
        뉴스페이퍼를 먼저 알고 있었더니 버전만 다른 줄 알았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