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현재 사용중인 웹 호스팅

현재 사용중인 웹 호스팅

530
13

현재 사용중인 웹 호스팅은 루아틱 호스팅 입니다.

상품은 H3M 평생 계정입니다.

webhostingprice03

루아틱에서 이야기 하는 평생계정의 장점?

 

장점, 신 서버가 나올시 무상 이전해드립니다.

거의 10년치 금액으로 루아틱을 무기한 사용가능하십니다.

H시리즈로 구입을 하셨다고 하더라도 일본 서버 또는 추후 미국서버등

무한 무상 이전 가능하십니다.

작년 루아틱이 사업자로 출범 후 6분의 고객님들이 평생계정 신청해주셨습니다.

올해도 평생계정 문의하시는분들이 있었기에 다시한번 ^^ 딱 10분의 고객분들만 모집합니다.

포럼 > 문의사항 또는 WHMCS > 고객 문의 티켓으로 신청 문의 주시면 결제링크 드리겠습니다.

 

나같은 경우는 일본서버 이전 후 현재 미국 서버에서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왜 해외 서버를 이용하냐 고요? 체감상 해외서버가 국내 서버보다 구글 검색 반영에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거 같습니다. 구글 검색 반영에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주지만 미국서버라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 인거 같습니다. 물론 도메인도 10년 정도 등록되어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 년 수도 검색반영에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초창기에 가입했기에 550,000원이 아닌 220,000원 이었나?에 가입했습니다.(그 당시 망하면 어떻하나 했지만 큰 마음 먹고 가입했습니다.) 어디까지나 과잉 투자였지만, 해당 금액은 블로그 광고비로 이미 회수했기에 아쉬움 같은 것은 없습니다.

webhostingprice01

루아틱 호스팅 평생 계정 가격표

webhostingprice02

미국서버 가격표와 사양.

 

아무래도 미국이 모든 면 에서 후할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이 회선비용 서버비용 모두 저렴하거든요. 요새 클라우드 많습니다.(리노드, 벌쳐, 디지털오션 등등) 가격 저렴합니다. 하지만 사용 안 하는 이유? 내가 서버 관리를 할 줄 아몰랑? 해킹 시도 때문에 골치 아픈데, 단순히 명령어 좀 몇 개 안다고 서버 관리를 할 줄 안다고 할 수 없으니까요? 보통 미국업체들이 기본 프로그램 버전관리하고 해킹 방어 몇 개 해주는데 기본 월 100불 이상 받으니 개인은 그냥 매니지 기능이 있는 가격대 쓸만한 웹 호스팅이나 vps, 클라우드를 사용하는게 저렴합니다. 이런점에 있어서 내가 보통 해외 웹 호스팅을 추천해 달라고 하면 블루호스트를 추천해 줍니다. 요새 블루호스트를 보면 참신한 상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클라우드 호스팅이라든지, 워드프레스 전용 vps 호스팅 등등. 해외 웹호스팅 사용시 금기 사항이 있는데, 가급적 공유 웹 호스팅은 피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유는 가격대를 높이고 여러가지 제한을 두는 업체가 아닌 이상 속도 때문에 눈물 납니다.  2008년도에 고대디 쓰다가 돌아가실 뻔 했습니다. 물론 국내 공유 웹호스팅도 느리기는 마찬가지니 피하라고 권장합니다.

 

공유 웹 호스팅 사용하지 말라는 이유는 서버에 입주한 사이트 수가 애미 없어요. 이 놈들도 돈을 벌어야 되니까. 대책없이 들여놓고, 관리는 제대로 안해요. 이게 일반적인 시간대는 괜찮은데, 사람들이 한창 접속할 피크 타임에는 눈물 납니다. 눈물 나. 상용 모니터링 툴로 모니터링 해보세요.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합니다.

 

루아틱이 타 사 대비 저렴한 이유(단점)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감안하고 사용합니다. 왜냐면? 타사 수준으로 똑같이 맞추면 가격대하고 용량하고 트래픽이 낮아 지거든요. 기본적으로 백업은 매일 하는게 아니고, 월,금 일주일에 2회만 합니다. 그런데 백업은 매일 받을 필요가 있나? 결론은 없다. 나 같은 경우는 풀 백업 한번 받아 놓고, 변경 사항이 좀 많을 때나 풀백업을 받고, 그래도 굳이 받아야 겠다고 한다면 변경된 사항만 받습니다. 워드프레스 이게 내가 무슨 일 할 때마다 어디가 변경 되는지 알기 때문에 변경 되는 부분만 받으면 백업 받는데 50메가면 충분하거든요. 워드프레스 변경사항은 별거 없습니다. 플러그인, 테마 설치나 업데이트 유무, 이미지 업로드 유무에 따라서 해당 디렉토리를 받으면 되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디비만 백업해 주면 됩니다. 변경된 사항만 백업 받는다면 50메가면 충분합니다. 풀 백업 받을 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골치 아픕니다.

 

그리고 단점은 웹공간 하드가 SSD가 아닙니다. 그런데 웹 호스팅 이용 경험상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게 상업용 사이트라면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어차피 상업용 사이트를 공유 웹호스팅을 사용할 일은 없으니 사실 문제라고 볼 이유도 없습니다. 이런것을 감안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있습니다. 호스팅에 큰 돈을 쓰기 싫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개인 블로그 운영에 있어서 무조건 적자입니다. 애드센스 수익만으로는 호스팅 비용하고, 도메인 유지비용은 절반도 충당하기 힘듭니다. 그런데 돈벌어다 주는 것도 아닌 곳에다가 돈을 써야 되는 입장에 SSD다, VPS, 클라우드 호스팅이나 서버호스팅을 사용할 수는 없는 일이니까요.

 

내가 생각하는 루아틱 호스팅의 장점은 국내 유일 CPanel 제공, 해외서버 제공, 가성비, 적은 서버 입주자 수 입니다. 1년 넘게 사용해본 경험상 업타임 보장은 준수한 편입니다. 아직까지 내 블로그의 트래픽을 보면 루아틱이 무난한 편 입니다. 트래픽이 월 500기가(그에 따른 광고수익도 포함해서 유지비가 안 나오면 트래픽 잡아먹는 포스팅은 삭제 해야 될 것입니다.) 이상 나온다면 블루호스트로 이전도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개인 블로그 트래픽이 그 정도 나올 일이 있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왜? 블루호스트를 추천하냐? 어차피 해외 웹호스팅을 사용해야 될 정도면 블루호스트가 무난 하니까요. 블루호스트 상품 설명 등은 내 블로그에 포스팅 해났으니 블로그내 검색으로 참고하세요. 어디까지나 공유 웹호스팅 사용은 어디를 사용하던지 크게 신경 쓰지 않지만 그 이상 급은 블루호스트가 무난(가성비)해서 추천 해주는 것입니다.

webhostingprice04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국 서버 정보.

대충 요약하면 ngix에 Maria DB 조합. 요새 이 조합을 많이 사용한다네요.

 

네임서버 정보

ns1.luatic.co.kr
58.229.105.104
ns2.luatic.co.kr
114.207.113.136
ns3.luatic.co.kr
114.207.113.175
ns4.luatic.co.kr
114.207.113.176

 

serverstatus01

서버 상태 확인

https://www.luatic.co.kr/serverstatus.php

서버상태는 로그인 상태에서만 확인 가능합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위해서 Themeforest에 투자한 돈들.

webhostingprice07

webhostingprice05webhostingprice06

이 정도는 투자해서 사용을 해봐야. 남들한테 추천을 해줄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워드프레스 테마 및 플러그인 구매는 Themeforst를 추천합니다.

 

워드프레스로 개인 블로그를 만들고 관리 및 유지 비용만 해도 백만원 가까이 들어가는 거 같습니다. 과연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 라는 질문에 개인적인 생각은 없다. 입니다.

결론은 돈 낭비, 시간 낭비… …

수많은 시행착오… … 금전, 시간 낭비… … 애드센스 이런거 해봐야 로또 값 충당하기 바쁘고 ㅋㅋ.

 

옛날에 싸이질 하던 생각이 납니다.

 

괜히 현재 사용중인 웹 호스팅이라는 포스팅에 잡소리가 많이 들어 같습니다.

이전 기사슈프림커맨더 포지드 얼라이언스 멀티
다음 기사블루호스트(Blue Host) 가입 및 결제

13 코멘트

  1. 쿠스피스님 오랜만입니다. 루아틱 포럼에서 블루호스트 소식 잘 봤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라고 새로 등장했군요. 이건 쓸만할까요? 한번 도전해 보려고 하는데 전문가이신
    쿠스피스님의 의견을 듣구 싶습니다.

    • 상품설명을 보면 미국,중국,호주 3개 국가에 서버가 있고(전 세계에서 접속이 있는 사이트가 아닌이상 별 의미 없어 보입니다.), 서버 내용은 자동으로 동기화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CDN서비스가 필요 없는 상품이라고 보여 집니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디스크 공간과 대역폭이 월 13불 상품부터는 무제한이라고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계신 VPS 상품이 더 좋다고 보여 집니다. 상품 자체는 참신해 보이는데 실제로 달로 결제해서 테스트 해보지 않는한 원하는 성능이 나올지 의문 스럽습니다. 요새 미국 호스팅 업체들 보면 예전에는 무제한 상품이 대세 였지만, 최근에 보면 워드프레스가 돈벌이가 잘되는지 미국 호스팅 회사들 보면 워드프레스 전용 상품이 출시 되었고, 워드프레스 전용 상품은 VPS 호스팅으로 서버단에서 최적화 작업을 해서 출시하는거 같습니다. 서버단에서 최적화 되서 출시되니 워드프레스가 느리다는 논란은 없을거 같습니다. 요새 미국 호스팅 회사들 상품이 출시되는 것을 보면 무제한 상품은 버리는거 같고, VPS호스팅으로 디스크 용량 제한, 트래픽 제한, CPU, 메모리 할당이 되는 상품이 대세인거 같습니다. 국내 웹호스팅 회사 중 가비아에서 트래픽 무제한 상품이 나왔던데, 시대 착오적인 상품 같습니다. 미국 웹호스팅 업체들에서 버리기 시작한 트래픽 무제한 상품이라. 무제한 상품은 사용하지 않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 명절 맞이 해서 해당상품 클라우드 서버를 결제했습니다. 해당 상품은 결제 특성이 다른 상품하고 다르게 연단위로만 결제가 됩니다. 가장 저렴한 상품인 97불짜리를 결제 했습니다. 속도 테스트는 명절 특수가 끝나고 해봐야 겠네요. 속도 자체는 블루호스트 광고처럼 공유 웹호스팅 보다는 훨씬 좋은거 같습니다. 이미 보유하고 있는 루아틱 미국 공유 웹호스팅 보다는 속도면에서 훨씬 좋은거 같습니다. 루아틱 서버자체가 부하는 없는데 신기하네요. 서버 세팅 문제인가?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나쁜 상품인거 같아 보이지는 않고, 실제로 클라우드 기능이 얼마만큼 좋은지는 테스트를 해봐야 될거 같습니다.

    • 클라우스 서버를 사용해보니 공유 웹호스팅의 한계 때문인지. 속도 자체는 느리지 않았으나 스파이크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역시 공유 웹호스팅 개념의 상품들은 피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블루호스트 환불이라는 포스팅도 할 겸해서 환불받았습니다. 미국 웹호스팅 회사들은 vps호스팅 밑으로는 사용안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그렇지 않고, 간헐적인 스파이크 현상등을 인내하고 사용하 실 분들은 크게 상관 없습니다. 서버 관리 능력이 있다면 아마존 웹서비스나 리노드 같은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사람들이 디지털오션을 많이 추천하길래 상품을 비교해보니 전혀 좋지 않고, 리노드가 월등히 좋았습니다. 아마 추천하는 이유는 제휴프로그램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호스팅 추천 사이트들 또한 전부다 제휴 프로그램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 되는 것이기에 웹상에서 정확한 정보를 찾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리노드를 추천하는 이유는 역사도 오래되었고, 일반 개인 상대 목적의 사이트가 아닌 기업들 상대로 운영하는 회사라고 보면 됩니다. 상품 구성을 보면 알겠지만 기업들 위주로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 말을 들어보면 프로모션을 해도 개인사용자 위주의 프로모션이 아닌 장기 사용자 위주의 프로모션만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상품을 선택하고 사용한다면 뜨내기 상대 업체 보다는 단골 손님 위주로 대우해주는 오래된 업체가 좋은거 같습니다. 블루 호스트 3가지 상품을 테스트 해본 결과 블루호스트에서 원할한 서비스를 받기를 원한다면 vps급을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물론 가격만 비교하면 클라우드 업체보다 2.5~3배정도 비싸지만 매니지드 먼트 서비스가 되고, cpanel이 제공되니 크게 비싸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2. 장문의 답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역시 직접 사용해보시고 리뷰하셨군요.
    저도 이곳저곳 호스팅을 사용해보고서 느낀건 어떤 비즈니스 목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vps급 이상으로 호스팅을 선택해야 겠다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그런데 아시다시피 서버에 대한
    제대로된 지식이 없다면 과연 보안을 제대로 유지시킬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게다가 디도스나
    해킹 등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다면 매우 골치아플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달리 차선책이 없네요.
    일단 vps로 서버구축을 하고 개발단계를 지나서 서비스가 운영된 후에 스스로 보안에 노력을 기울이거나
    보안 매니지먼트를 제공하는 서버로 옮기던가 해야겠습니다.

    그리고 디지털오션, vultr, 리노드, 코노하 등 요새 가상서버 호스팅으로 많이들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
    디지털오션보다는 리노드가 낫다고 하신 부분은 저도 동감합니다. 서비스 품질이 매우 우수하고 100%에
    근접한 업타임을 보장한다면 광고를 통하지 않아도 입소문으로 충분히 유저확보가 되지 않을까요.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오션 같은 신규 유저 확보에 많은 투자하는 업체보단 리노드가 조금 더 마음이 가는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둘다 사용해보질 않아서 뭐라고 확실히 말하긴 어렵네요.

    사실은 최근 디지털오션과 리노드 중에 어떤 호스팅으로 테스트를 진행 할지 고민 중입니다.
    리노드는 일본 서버가 품절이라는게 문제네요.. 그치만 싱가폴을 선택하고 추후 일본 서버가 재오픈
    된다면 이동하는 방법으로 대처하면 될 것 같고요. 디지털오션은 저같은 초보가 세팅하기에 조금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친화적인 느낌? 그리고 국내 블로거들이 포스팅한 세팅법 등이 제법 보이네요.
    아무튼 고민이 많습니다. 답변해주셔 감사드립니다~!

    • 어차피 저같은 개인 사용자는 잘 알지 못하지만요. 가상 서버 호스팅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비용적인 측면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디까지나 해킹을 당해도 별 상관 없는 개인 사용자라면 상관 없지만, 회사라고 한다면 서버관리자가 있다는 전제하에 서버(고정비용)와 트래픽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리노드 이런데도 매니지 서비스 같은 것은 제공해주기는 합니다. https://www.linode.com/managed 서버관리할 인원이나 능력이 없다면 절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국내 웹호스팅 회사들 관리비를 보면 10~30만원 정도 받던데, 중요한 업무에 사용한다면 비싼 비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관리능력이 없는 사람 입장에서 본다면 절대로 좋은 서비스는 아닙니다. 초기 세팅 문제는 각 회사 매뉴얼 페이지에 가시면 자세하게 잘 나와 있습니다. 굳이 원스톱으로 구축되는 서비스에 비싼 비용을 지불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자동으로 프로그램 버전 관리나 운영체제 보안 까지 되는 저렴한 서비스가 있다면 사용해 볼만하다고 생각되지만 아직까지 그런 서비스는 없는거 같습니다.

      추가로 믿을만한 웹호스팅 순위사이트를 보면 클라우드 업체는 리노드(제휴 프로그램 없음)가 가장 순위가 높고, 공유 웹호스팅 업체는 사이트 그라운드(제휴 프로그램 있음. 사양제한과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추천이 많은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지나친 제휴프로그램 운영으로 정상적인 서비스에 투자가 된다고 생각하기 힘듭니다.

  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블루호스트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가격이나 서비스는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블로그에 쓴 글이 네이버나 다음 검색에서는 매우 불리한 것 같네요.
    이게 해외 호스팅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해외 호스팅을 해도 제가 SEO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용을 잘 못해서 그런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Cafe24 워드프레스 호스팅으로 옮겨볼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한글로 글을 많이 쓰시니, CUSPIS님도 구글 검색 뿐만 아니라 네이버/다음 검색에도 신경을 많이 쓰시지 않으실까 싶습니다 ^^

    • 원리는 간단합니다. 네어버나 다음의 주 수입원이 어디일까요? 검색 광고 입니다.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하신다면 자사의 컨텐츠만 검색이 되게 됩니다. 그 이외의 컨텐츠는 웹문서라는 형식으로 검색이 되는데, 웹문서는 굳이 일부러 클릭해서 따로 보지 않는 한 보기 힘듭니다. 여기서 워드프레스나 기타 CMS를 사용하게 되면 웹문서에 노출이 되기에 다음이나 네이버 검색 노출은 처음부터 생각안하시는게 낳습니다. 네이버나 다음의 검색노출을 원하신다면 해당 포털의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렇고 절대로 타사나 설치형 CMS는 검색에 반영 안시켜 줄 것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하루 방문 천명 정도라면 네이버 블로그라면 만명이상 방문자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개인 블로거 로서 방문자가 많은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내가 원하는 방문자는 광고 클릭이라든지 일정한 액션을 통해서 호스팅 유지비를 보태줄 수 있는 사용자만 원할 뿐입니다. 애드센스 일년 수입해봐야 일년 호스팅비하고 도메인 유지비가 겨우 나오니까요. 그리고 검색을 위해서 특별히 신경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 검색은 글만 잘 쓰면 됩니다. 읽기 편하고, 깔금하고 잘 정리된 글이 검색에도 잘 반영 됩니다. 남의 글을 복사하거나 부실한 내용의 글들은 검색에서 제외 됩니다. 글을 작성할때 논술 시험본다고 생각하시고 글을 작성하시면 반영이 잘 됩니다.

  4. 제가 궁금했던 내용들이 아주 잘 정리되어 있는 거 같습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서비스를 준비 중인데 개발까지만 공유 웹호스팅을 진행하고 피드백이 어느 정도 나오면 옮기자는 중론이어서 쉽지가 않네요. 비용면에서도 그렇고. 이미 방향을 그렇게 잡고 외관 개발 쪽에 비용+시간이 많이 투자된 상태입니다만, 결과가 보이면 나중에 옮기자는 논리를 반박할 이유는 특별히 없는 건가요?

    • 제가 컴퓨터 쪽이 직업이 아니라서 잘 모르지만 일단 테스트야 로컬이나 공유웹호스팅에서 해도 상관없고, 서버관리자가 따로 있으면 요새 클라우드쪽 호스팅 받으셔도 되고, 비용을 좀더 쓰실수 있으면 서버호스팅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옮기는 작업은 어려운 일이 아니기에 나중에 옮기자는 말이 맞는거 같습니다.(대략적인 윤곽이 나오면 알맞은 서비스 선택후 차차 늘려나가면 되니까요.) 타사 서버로 이전시 네임서버 변경할때 12~48시간정도 중단되는것 빼고 옮기는것은 힘든게 아니니까요.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